• 길이야기
  • 시골버스
  • 서울 한양도성
  • 제주
  • 성북
  • 북촌
  • 카테고리 전체보기
    • 서울 한양도성
      역사와 문화, 미래의 가치를 품고 있는 서울 한양도성에서
      우리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길을 찾고, 그 길을 걷는다
      40 9,665 132,443
    AUDIO
    한양도성 오디오 가이드 1_성북 구간
    한양도성 오디오 가이드 1_성북 구간

    숨 쉬듯 천천히, 그렇게 길을 걷던 때가 언제인가요?

    매일 다람쥐 쳇바퀴 돌듯 그렇게 걷고 있는 아스팔트 길 위에서는
    나만의 가치를 차분하게 느낄 수 있는 길을 찾기가 점점 더 힘이 듭니다.

    그래서인지 언젠가부터 사람 사는 냄새가 물씬 나는 길,
    들여다 볼수록 새로워지는 길,
    나도 모르게 느리게 걷는 길에 자꾸 눈이 갑니다.

    몇 백 년 전 지어진 집에 여전히 사람이 살고 있고,
    건물과 건물 사이 남겨진 옛 길의 흔적까지 남아있는 곳.

    성돌 틈으로 뚫고 나온 나무 뿌리와
    여장 위로 솟은 수북한 이끼들,
    그리고 그 곁에 옹기종기 모인 오색 지붕의 마을들.

    우리가 잊고 살아왔던 그 시간들을 찾아서,
    이곳, 한양도성을 걸어봅니다.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3번 마을버스를 타고 북정마을 꼭대기에서 내립니다.

    엄마 품처럼 평안한 북정마을을 돌아보시다가 고개를 들어 보면
    파도가 굽이치듯 내려가는 한양도성, 백악구간을 발견하실 겁니다.


    >>>>
    한양도성의 출발점,
    북정마을을 시작으로 한양도성을 벗삼아
    성곽아래, 장수마을까지 걸어가봅니다.


    >>>>
    북정마을 노인정에서 골목길을 따라 올라가면
    와룡공원에서 성곽 밖으로 이어진 계단을 따라 걸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한양도성은 안과 밖의 모습이 참 다른 풍경입니다

    땅 밑으로 묻혀있는 듯 땅에 닿은 성벽의 안쪽 길,
    그곳을 걸으며 성 밖을 내다보면
    칸칸이 다른 풍경을 보며 걸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밑단부터 더 높게 드러나 있는 성벽의 바깥쪽 길,
    그 길에선 성돌을 짚어가며 마을과 숲길을 끼고 걸을 수 있어 좋습니다.


    >>>>
    이렇게 성 밖의 성벽을 따라 내려오다 보면
    작은 정자가 있는 성북동 쉼터에 도착합니다.

    여기서부터는 한양도성이 유실된 구간을 지나게 될 텐데요,
    끊어진 성벽을 끼고 그대로 걸어 내려오면 차도가 나오고,
    거기서 '혜화문'이라는 이정표가 보이는 골목 길로 들어섭니다.

    민가와 건물 벽에 군데군데 남아있는 한양도성의 모습들이
    다시 시작될 겁니다.


    >>>>
    경신고등학교, 그 높은 시멘트 담벼락 밑 둥에
    올망졸망한 돌들이 남아 있는 것을 발견했나요?

    그래도 끊어진 듯 이어지는 이 길을 따라가다 보면,
    그 끝에는 혜화문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혜화문의 원래 이름은 '홍화문' 이었는데요,

    창경궁이 건립되고 나서는 그 정문과 이름이 겹쳐서
    '은혜를 베풀어 교화 한다'라는 뜻의 혜화문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
    그럼, 이제 혜화문에서 나와 낙산구간으로 이어지는 장수마을로 가볼까요?

    차도를 건너
    한양도성 낙산구간 안내판이 서있는 계단으로 올라가 봅니다.

    여기서부터는 성의 외벽,
    한양 도성의 몸체라 할 수 있는 체성을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원래 한양도성을 처음 축조할 때
    산지는 석성으로 쌓고,
    평지는 토성으로 쌓았다고 합니다.

    그러다 세종 이후, 시기별로 보수를 하면서 돌의 모양이 달라진 거죠.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한 게 태조 때였고,
    완두콩 알맹이처럼 옹기종기 모인 거무스름한 돌은 세종 때,
    석공이 영혼을 끌어 모아 다듬은 듯 네모 반듯한 것이 숙종 때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 돌들은 다 누가 쌓았을까요?

    태조 5년, 궁궐과 종묘사직을 건축한 이후에
    전국의 수십만 명이 넘는 백성을 동원해서 쌓았다고 합니다.

    돌은 오로지 정과 끌 같은 소도구를 이용해
    사람 손으로 직접 깎았다고 하는데요...
    성돌 하나하나를 다듬어냈을 백성들의 마음을 생각해 봅니다.


    >>>>
    그렇게 여러 대를 거쳐 만들어진 성벽을 살피며 걷다 보면,
    장수마을이라고 쓰여진 돌판을 만나게 됩니다.

    이 돌판을 옆으로 두고, 장수마을을 지붕처럼 둘러싸고 있는 성곽을 따라
    계속 올라가 보면 성 안으로 들어가는 암문에 도착합니다.


    >>>>
    암문은
    비밀리에 군사를 이동하거나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 만든 문이라고 합니다.
    평소에는 큰 돌로 입구를 막았다가 전쟁 중에만 사용했다고 하네요.


    >>>>
    우리는 성 밖을 걷는 중이니, 성 안으로 들어가는 대신
    '동네목수의 작은 카페'가 있는 장수마을 골목길로 내려가 볼까 합니다.


    >>>>
    장수마을은 함께 모여서 와글와글했던
    옛 골목길의 향수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성곽마을입니다.

    이 마을에는 평상이 놓여있는 6개의 골목이 있습니다.
    이 평상에서 마을 회의도 하고
    가파른 언덕을 오르다 힘들면 누구든 쉬어갈 수 있다고 합니다.

    마을을 둘러싸고 꿋꿋이 솟아있는 한양도성의 굳건함 덕분인지...
    장수마을에서는 삶의 고단함보다는
    정답고 따뜻한 미래를 기대하게 됩니다.


    >>>>
    저기 장수마을의 할머니 쉼터가 보입니다.
    잠시 앉았다 갈까요? 다리도 좀 풀고, 물도 좀 마시고요.

    바람이 불면 눈도 한번 감아보세요.
    이런 바람 길은 평소에 만나기 쉽지 않습니다.

    어쩌면 북악산 자락을 따라 내려온 산의 기운이
    한양도성을 타고 내려오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
    오랜 세월 동안 이곳을 거쳐 갔던 수많은 사람들을 상상해 봅니다.

    과거 시험 한번 보겠다고 굽이굽이 이어진 문경새재 건너오던 선비들,
    이 다리에서 저 다리로 물건을 팔며 서신도 전해주던 봇짐꾼들,
    어떤 볼일들로 성 안과 밖으로 오가던 백성들,
    그 모든 여객들이 지친 몸을 안고
    저 멀리 보이는 성벽 하나로 안도했을 그 모든 순간들을 말입니다.

    그 시간이 품은 이야기들이 한양도성을 따라 흐르고 흘러서
    지금 바로 여기 이 순간까지 우리에게 이어져 왔음을 깨닫게 됩니다.


    >>>>
    길은 언제나 그랬습니다.
    길이 아닌 곳도 사람들이 드나들면서 길이 되었고,
    아무도 찾지 않으면 그 길은 사라졌습니다.

    한양도성의 길도 우리가 오래오래 걸어야 사라지지 않고
    우리 곁에 남아 있지 않을까요?

    수많은 이야기들을 담아내며 변함없이 서울을 지키고 있는 한양도성,
    지금도 우리 곁에서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한양도성이 품고 있는 성곽마을, 북정마을에서 장수마을까지 함께 이 길을 걷습니다
    추천수 377 조회수 8,396
    추천스크랩목록